티스토리 뷰

세시풍속 정월대보름

세시풍속은 주로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에 예로부터 전해지던 농사력( 예를 들어 언제 씨를 뿌리고 파종하며 등등.... )의 관례인 그 풍습 행사 중 하나로 정월대보름이 있다. 도교에서 유래된 용어로 상원(上元)이라고도 한다. 189개의 세시풍속 중 40개 가 정월대보름과 관련된 풍속이라고 하니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깨닫게 된다. 정월대보름은 매우 역사가 오래된 전통 중 하나인데, 한 해가 시작되는 첫 보름달이 뜨는 날로 음력 1월 15일에 지켜지는 고유 명절이다. 일반적으로도 세시풍속 행사의 비중이 아주 높은 전통 행사에 속한다. 1월 1일은 1년의 일이 시작하는 날로서 당연히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며,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보는 음력을 사용하는 옛 사회에서는 첫 보름달이 뜨는 대보름날이 중요한 뜻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때 밤하늘을 보게 되면 유독 보름달이 크고 둥근데 옛날 사람들은 이 달에 소원을 빌었으며 달의 모양으로 한 해의 농사에 관한 길흉을 점치기도 하였다. 농점(農點)이라고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우리가 모두 아는 달집 태우기, 사발재점, 그림자점, 소밥 주기, 닭울음점, 달불이, 집불이 등이 있다.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면에서는 달은 여신이며 대지의 음성 원리(陰性 原理) 또는 풍요 원리를 기본으로 하던 것이라고도 하는데 태양을 양으로 본다면 달은 음이며 여성으로도 표현되기 때문이다.

정월 대보름 보름달

 

옛날 사람들은 달은 상징으로 여성, 출산력, 물, 식물들과도 연결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여성 신은 대지와 결합하며, 만물을 낳는 지모신(地母神)으로서의 출산력을 가진다고도 보았다. 농사에서는 달의 비중이 결정적으로 가장 중요했었고 대보름은 그의 상징성에서도 중요시되었다. 우리의 정월 대보름날을 설날처럼 여기는 아주 오래된 관습의 이어짐은 지금까지도 남아 있다. 150여 년 전의 ≪동국세시기≫에서도 이날 온 집안에 등잔불을 켜놓고 밤을 새운다. 마치 섣달그믐날 밤 수세(守歲)하는 예와 같다.라고 되어 있다. 지금도 각 지방의 민속조사 보고서들에서도 이러한 관습들은 분명하게 잘 나타나고 있다.

정월대보름의 음식

정월 대보름날에는 절기 음식으로서 대표적인 약밥과 오곡밥, 묵은 나물과 복 쌈, 부럼, 차가운 청주로 담근 귀밝이술 등을 먹는다. 새벽 해뜨기 전에 더위 팔기를 하는데 새벽녘 친구나 이웃을 찾아가서 친구 이름을 부르고 친구가 대답할 때 내 더위 사 가라고 먼저 외치면 그해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한다. 더위 팔기는 해가 뜨고 나면 효험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아침 일찍 일어나 부럼을 깨고 시작한다. 밤이나 땅콩, 은행, 호두 잣 같은 부럼을 깨면서 부스럼 등의 피부질환이 없기를 기원하였고 치아를 튼튼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부럼을 먹고 나면 바로 귀밝이술을 한잔 먹음으로써 귓병도 막아주고 좋은 소식을 듣자고 믿었다. 설 차례 때 쓰고 남은 제가 주를 남겨두었다가 많이 사용되었다. 복쌈은 김에 나물을 싸서 먹는 것을 말하는데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한다. 오곡밥은 찹쌀과 붉은색의 팥, 검정콩, 차조, 수수 등이 들어가며 작두콩 및 보리도 지역에 따라 가감한다. 나물은 보통 9~10가지 정도로 준비하는데 거의 생나물이 아닌 묵은 나물이다. 잎이나 채소를 말린 것을 사용한다. 질경이, 호박고지, 고구마 줄기, 말린 가지, 버섯, 고사리, 도라지, 시래기, 박나물, 토란대, 고춧잎, 아주까리 잎 등이 있다. 집마다 다르며 지역별로 다르기도 하다. 대보름에 묵은 나물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전해 내려왔다. 이 밖에도 팥죽과 검은빛이 나는 약식을 먹으며 액운을 떨친다고 믿었다.

 

정월 대보름에 하면 안 되는 것들이 있었는데 나물들은 오곡밥과 먹지만 비벼서 먹지 않았다. 뒤죽박죽 논밭에 잡초가 엉켜 섞이는 것을 상징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날은 찬물도 먹으면 안 되었다. 여름에 더위를 먹고 일할 때 소나기를 몰고 오는 것을 염려하였던 까닭이다. 칼질도 하면 안 되었다. 한 해의 복에 금이 가고 곡식이 갈라진다는 의미가 있었으며 모든 음식들은 다 전날에 준비해 놓았다. 김치도 먹지 않는다. 이날 김치를 먹으면 몸이 간지러워 피부병이 생긴다고 믿었고 백김치는 머리가 하얗게 세어버린다는 속설이 있었다.

달집태우기

정월대보름의 행사

대보름 기복 행사로는 복토 훔치기, 용알 뜨기, 더위 팔기, 볏가릿대 세우기, 다리밟기, 나무시집보내기, 백가반(百家飯) 먹기, 나무 아홉 짐 하기, 곡식 안내기 등을 한다. 용알 뜨기는 정월 14일 밤에 용이 땅으로 와서 우물에 알을 낳는다는 믿음이 이어져 온 것으로 용이 알을 낳은 물에 첫 번째로 물 뜨기를 하려고 새벽녘에 일찍 일어나서 물을 뜬다고 하는 풍습이다. 대보름은 좋은 날이기 때문에 일찍 일어나서 아침을 맞을수록 좋다고 하는 말도 알려져 있다. 복토 훔치기는 정월 14일 밤에 부잣집 땅의 흙을 훔쳐다가 자기 집 마당에 뿌리면 그 기운과 복이 따라와서 잘 살게 된다고 믿는 풍습이었다. 달집 태우기는 정월 대보름날의 대표적인 행사로서 지역마다 축제처럼 이어져 오기도 한다. 달맞이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쥐불놀이 및 마을 대항으로 벌이는 횃불싸움 (홰싸움) 과도 비슷하다. 보통 달집을 만들 때 마을에 따라 다르기도 하나 보통 대나무를 섞는다. 대나무를 주로 세우고 다른 나무들을 엮어서 만드는 경우가 있다. 대나무가 불에 탈 때에 압력을 받아 터지는데 엄청난 큰 소리를 내면서 터진다. 이 큰 소리가 잡귀를 쫓는다고 생각하며 일부러 전통적으로 대나무를 넣었다. 마을의 복의기원과 간단한 제를 올림으로써 시작되고 모두 타고나면 달집이 탄 모양과 쓰러진 방향으로 보며 농사의 풍년과 흉년을 점치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액운을 떨치는 풍습들이 많이 있었다. 지금은 오곡밥과 나물을 주로 먹으며 명절을 기억한다.

만사형통을 기원하며 정월대보름에 모두 모여 둥근달을 보며 소망을 빌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