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스코빌지수 Scoville scale
스코빌 지수라고 들어보셨나요? ^^
스코빌 지수란 고추나 후추 등
매운맛을 느끼게 하는 캅사이신 성분의 (캡사이시 노이드) 농도를 계량화해서 만든 지수로,
매움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내 줍니다.
매운맛의 기준을 알아보기 위해 캡사이신 식재료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랍니다.
미국의 약사인 윌버 스코빌(Wilbur Scoville, 1865~1942)이 만들었기에 그 이름을 따서
스코빌 지수라고 이름이 지어진 것입니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매운맛이 강하다는 건데요.
매운맛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식품인 고추는 과연 얼마나 매울까요?
고추의 매운맛을 느끼게 하는 성분은 캅사이신이라는 화합물이에요.
하지만 우리가 먹는 고추는 대부분 풋고추이고
정말 매운 고추는 청양고추로 알려져 있지요.
풋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건 껍질 부분이고 과육 부분은 단맛을 낸다고 해요.
그래서 실제로는 맵지만 안 맵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청양고추의 경우 Scoville scale 스코빌지수는
약 4,000~10,000 SHU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한국 사람들이 좋아하는
불닭볶음면의 스코빌 지수는 얼마인지 아시나요? ^^
4,404 SHU라고 하네요.
사실 매운맛은 어디선가 듣기로는 맛이 아니라 고통이라고 하던데요.
스트레스가 풀리는 것 같기도 하고 매워서 더 스트레스받는 것 같기도 해요.
뭐가 뭔지 오락가락 ㅎㅎ 매운맛의 원인 물질인 기본적인 순수한
캅사이신 자체로의 스코빌 수치는 약 1,500만에서 1,600만이라고 해요.
청양고추의 스코빌 지수는 최대 12,000 ( 역시 맵긴 맵네요 )
보통 약한 청양고추도 4000~7000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라면의 스코빌 지수 알아보자
우리가 매운 라면 하면 대표적으로 불닭볶음면과 신라면을
생각할 텐데요. 팔도중앙연구소와 삼양식품의
공동 조사에 따르면
팔도 사의 틈새라면 빨계떡 제품이 8557 SHU로 가장 높았고요.
( 사실 이건 건대 쪽에 틈새라면 제가 매운 것 좋아했을 때 자주 먹었는데
정말 매워요! ㅋ) 그다음이 4404 SHU 삼양사의 불닭볶음면이래요~
근데 추후에 핵불닭볶음면이 나오면서 1만이 넘는 스코빌 지수로
가장 매우면서 매운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고 하네요.
신라면이 매울 신 자를 내세워서 맵다고 많이 알려져 있고
매운 라면 기준이기도 한데
정작 신라면은 1320 SHU 더라고요.
( 사실 신라면은 농심 회장님 (이름의) 성이 매울 신 자에서 따왔다고 듣기도 했어요 )
스코빌지수가 0 인 라면도 있습니다. 40주년을 맞은
농심의 안성탕면 순한 맛인데요.
이건 아예 고춧가루를 넣지 않은 0 스코빌 지수라고 하네요.
너무 맵게 먹을 경우에는 위경련이 일어나서 위세척을 받거나
식도에 구멍이 날 수도 있고 속이 쓰리고
장(腸)에 심각한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 더 심할 경우 쇼크로
사람이 죽을 수도 있다고 하니 너무 맵게 먹지 마시고
늘 건강도 유념하시길 바랍니다. ^^
오늘도 제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