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가스라이팅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무엇일까요?
요즘은 그나마 자주 듣게 되는 말인데요.
✅가스라이팅이란 무엇인지 ✅ 뜻과 의미 ✅ 를 알아보겠습니다.
가스라이팅이란? 뜻 의미
가스라이팅은 가스등 밝기를 조절하며
상대방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처럼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조작하여
자신이 우월함을 과시하고 상대에게
현실감을 잃게 만드는 심리적 학대입니다.
가해자는 상대방의 기억을 부정하거나 왜곡하고
책임을 전가시키며 비난하거나 조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대방을 힘들게 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상대방의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심리적인 고통을 유발합니다.
가스라이팅은 가정, 직장, 친구 관계 그리고 연인 등
다양한 곳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피해자는
자신이 잘못되었다는 생각에 빠져
혼자 끙끙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신을 믿고
객관적인 증거를 찾으며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가스라이팅을 당하면
당하는 피해자는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긴 합니다. 혼란스럽죠.
아래의 예시들을 보고 만약 내가 가스라이팅을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면 혼자 끙끙 앓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가스라이팅은 피해자를 위해주는 척 하지만
결국 가해자가 원하는 대로
하게끔 조정하는 것 결론적으로 가스라이팅은
상대방을 혼란스럽게 만들어 피해자 자신을
의심하게 만드는 심리적 학대입니다.
가스라이팅의 예시와 화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
가스라이팅의 예시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가스라이팅은
특별한 화법이 있는데요.
가스라이팅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가스라이팅에서 자주 사용되는 예시문 10가지를 한번
추려봤습니다.
"내가 그런 말 한 적 없어. 네가 착각하는 거야." 라며
상대방의 기억을 의심하고 부정합니다.
기억을 외곡하고 조작하는 것이죠.
"네가 예민해서 그래."라는 말도 있습니다.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상대방의 문제로 돌립니다.
책임 전가를 해서 문제가 피해자책임으로 몰아버리는 것입니다.
"네가 항상 그렇지 뭐." 라며
상대방의 행동을 비난하고 조롱하며
자존감을 깎아내립니다.
비난과 조롱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불편하게도 합니다.
"넌 항상 이런 식이야." 라며
특정한 사건을 과장하여 일반화하고
상대방을 부정적으로 규정합니다.
"네가 너무 오버하는 거야." 라며 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해 버리고 하찮게 만듭니다.
"다른 사람들은 다 널 싫어해." 라며
상대방을 고립시키고 자신에게 의존하도록
만듭니다. 피해자는 고립이 되겠지요.
"만약 네가 나를 떠나면 어떻게 할 거야?" 라며
불안감을 조성하고
상대방을 조종합니다. 불안감 조성을 함으로써
일어나지 않을 일을 걱정하게 합니다.
"네가 너무 예민해서 그렇게 느끼는 거야." 라며
상대방이 느끼는 감정이나 상황을 부정합니다.
"내가 얼마나 힘든데 너는 아무것도 모르니?" 라며
자신을 피해자로 만들고
상대방에게 죄책감을 느끼게 합니다.
"다 네 잘못이야"라는 말을 계속 반복 함으로써
어떤 일이 생기든 항상 상대방에게 책임을 돌리며
반복적으로 "다 네 잘못이야"라는 말을 상황마다
사용합니다.
가스라이팅의 특징 중 하나는 반복성인데요.
같은 패턴의 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세뇌될 정도로 말이지요.
처음에는 미묘한 차이로 시작하여 점차 심해집니다.
상대방을 고립시켜 외부의 도움을 받지 못하게 합니다.
상대방의 자존감을 낮추고 자신을 의심하게 만듭니다.
가해자는 상대방에 대한 권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것을 얻고
조종합니다.
가스라이팅 처벌은 어떻게?
가스라이팅은 상대방의 심리를 조작하여
지배하는 행위로 피해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주지만만 현재 우리나라 법 체계에서는
명확한 처벌 규정이 없습니다.
왜 가스라이팅 처벌이 어려울까요? 그 이유는 가스라이팅이
무형의 범죄이기 때문인데요.
가스라이팅은 신체적인 상해나 물질적인 증거가
명확하게 남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해자의 진술만으로는 범죄 입증이 어렵습니다.
정신적인 고통은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어렵고
피해자의 주관적인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 자체가
법률 용어가 아니기 때문에
기존 법률 조항으로는 가스라이팅 행위를
명확하게 포섭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당하고도 아무것도 할 수 없을까요?
뉴스를 보면 많은 피해자들이 종종 나오기 때문에
억울한 상황에 닥치고 가만히 있을 수는 없겠지요.
가스라이팅 피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메시지, 녹음 파일, 사진 등 가해자의 행위를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최대한 확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사람에게 도움 요청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가족이나 친구, 전문 상담가 등
신뢰할 수 있는 사람에게
상황을 이야기하고 도움을 요청하세요.
정신과 의사, 심리 상담가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상처를 치유하고,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상담받는 것이 좋습니다.
변호사와 상담하여 법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 법률상담 쪽도
알아보세요. 비록 현재 가스라이팅 자체가
명확한 범죄로 처벌되지는 않지만
가스라이팅 행위가 다른 범죄 구성 요건에
해당될 수도 있고 전형적인 가스라이팅 사건이었던
얼마 전의 가평 계곡 살인처럼 ( 결국 무기징역 )
인정이 되는 증거나 증인들 주변인 진술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모욕죄, 협박죄 등)